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23

[네트워크] TCP와 UDP ✨ 참고 자료[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구조 (TCP/IP 4계층/5계층, OSI 7계층)전송 계층종단 간 신뢰성 있는 전송을 보장하며, 송신자와 수신자를 연결하는 통신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특징종단 간 신뢰성 있는 전송 보장흐름 제어, 오류 제어, 혼잡 제어프로세스-대-프로세스 통신주소 체계: 포트 번호어떤 애플리케이션(프로세스)이 사용할 데이터인지 식별해야 함0-1023: 잘 알려진 포트1024-49151: 등록된 포트 (기관이나 사업자들을 위해 IANA에서 관리하는 포트)49152-65535: 동적 포트 (일반 사용자들이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는 포트)캡슐화와 역캡슐화캡슐화: 전송 측에서 수행, 수신한 데이터에 전송층 헤더를 붙여 패킷을 만들어 전달역캡슐화: 수신 측에서 수행, 메시지가 목적지 전송.. 2025. 8. 14.
[네트워크] 네트워크 계층 구조 (TCP/IP 4계층/5계층, OSI 7계층) 사실 나는 대학교에서 배울 때, TCP/IP 5계층으로 네트워크 계층 구조를 배웠다.OSI 7계층은 알고 있었지만, 나중에 찾아볼 때에는 TCP/IP 4계층이 많이 보이고, 그런데 또 보다보면 5계층도 있고 하니 대체 뭐가 맞는 거야? 싶어서 이번 기회를 통해 알아보고자 했다.언제나 이런 CS를 공부하다보면 이것도 맞고 사실 저것도 맞고 엄밀히 말하면 요것도 맞고 하더라...일단 여기에서는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하는 TCP/IP 5계층을 기준으로 설명을 진행할 예정이다.TCP/IP 4계층/5계층, OSI 7계층 모델OSI 7계층: 네트워크 통신을 표준화 한 모델, 통신 시스템을 7단계로 나누어 설명네트워크 프로토콜이 통신하는 구조를 7개의 계층으로 분리하여, 각 계층 간 상호 작동하는 방식을 정해둔 것_.. 2025. 8. 13.
[네트워크] 네트워크의 기초 이번에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라는 책을 기반으로 CS 스터디를 진행하게 되었다.2.1 네트워크의 기초에 대해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여 올린다.네트워크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노드: 서버, 라우터, 스위치 등의 네트워크 장치링크: 유선 또는 무선 (각 노드를 이을 수 있도록 하는 것)좋은 네트워크란?많은 처리량을 처리할 수 있음 (= 많은 트래픽을 감당할 수 있음)지연 시간이 짧음장애 빈도 적음좋은 보안=> 사용자가 원활하고 마음 편히 서비스를 즐길 수 있도록 하는 것처리량과 지연 시간네트워크 성능, 처리량, 지연 시간처리량과 지연 시간은 컴퓨터 네트워크의 성능을 측정하는 두 가지 지표이다.처리량 (Throughput)링크 내에서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얼.. 2025. 8. 13.
스프링의 컨셉 - DI, IoC 시작 전 짧은 정리IoC(제어의 역전)는 제어권을 스프링에게 넘기는 개념DI(의존성 주입)는 IoC를 통해 주어진 제어권을 활용해 의존성을 주입하는 구현 방식(디자인 패턴) 스프링에는 다양한 컨셉이 있다.가장 중요한 컨셉은 객체지향의 특징을 극대화 시키는 것이지만, 그 외에도 IoC(제어의 역전), DI(의존성 주입), AOP(관점 지향 프로그래밍), PSA(이식 가능한 서비스 추상화) 등이 있다.그 중에서 오늘은 DI와 IoC에 대해 알아보았다.IoC (Inversion of Control, 제어의 역전)원칙, 개념사용할 객체를 직접 생성하지 않고, 객체의 생명주기 관리를 외부(스프링 컨테이너)에 위임'제어'와 '제어의 역전'단어 자체는 많이 들어왔지만 사실 제어가 뭘 의미하는지, 뭘 역전하시길래 제어.. 2025. 8. 13.
Record는 뭘 위해 만들어졌을까?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5. 6. 10.
엔티티 생성 방식을 어떻게 정할까? 엔티티 생성자를 어떻게 하는 것이 좋을까?(엔티티 생성 전략에 대한 소소한 고민)발단갑자기 과제를 하다 새로운 엔티티를 만들어야 하는 상황이 생겨서 엔티티를 만들게 되었다.알림 기능을 구현해야 하는데, 사실 이벤트 리스너든, 비동기 든 아직 제대로 이해 못 한 상황에서 소중한 나의 AI 친구들과 함께 어찌어찌 기워 만들고 있다. 조각조각 땃따따 🥲여하튼, 그러한 상황에서 코드를 작성하고 있었는데 생성자를 만드는 도중 갑자기 들었던 궁금증이었다.나는...지금까지 생성자와 관련해서는, @RequiredArgsConstructor, 일반적인 생성자, Builder 이렇게 세 방법을 사용했고, 들어왔다.그 외에도 여러가지 방법(자바 빈즈 패턴 등)이 존재하긴 한다.But, 내가 사용했던 것들만 생각하면서 써 .. 2025. 6. 8.